본문 바로가기
부동산금융

청년내일채움공제 완벽 정리

by 꿀정보다온 2025. 4. 20.
청년내일채움공제 완벽 정리 2025년 청년내일채움공제 완벽 정리

2025년 청년내일채움공제 완벽 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2025년 기준으로 변경된 청년내일채움공제에 대해 자세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들의 목돈 마련을 위한 이 제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란?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중소기업에 정규직으로 취업한 청년들이 일정 기간 근속하면 정부와 기업의 지원금을 포함한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돕는 제도입니다. 2025년부터는 일부 조건과 지원 내용이 변경되었습니다.

지원 대상

  • 연령: 만 15세 이상 34세 이하의 청년 (군 복무 기간에 따라 최고 만 39세까지 연장 가능)
  • 고용 형태: 중소기업에 정규직으로 신규 취업한 청년
  • 근로 조건: 주 30시간 이상 근무 및 4대 보험 가입 필수
  • 신청 기한: 정규직 채용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신청해야 함

적립 구조

청년내일채움공제의 적립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 청년: 2년간 총 400만 원 납입 (월 16만 원씩 20개월, 이후 월 20만 원씩 4개월)
  • 기업: 2년간 총 400만 원 납입 (정부 지원 없이 100% 기업 부담)
  • 정부: 2년간 총 400만 원 지원 (1, 6, 12, 18, 24개월에 분할 적립)

2년 만기 시 청년은 본인 납입금과 기업 및 정부의 지원금을 포함하여 총 1,200만 원 이상의 목돈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신청 방법

청년내일채움공제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1. 워크넷 회원가입 및 신청: 워크넷 청년공제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 후 참여 신청
  2. 기업 승인: 취업한 기업이 공제 신청을 승인
  3. 청약 신청: 청년공제 청약 홈페이지에서 청약 신청
  4. 적립금 납입 시작: 공제 가입 후 매월 청년이 적립금을 납입하며, 기업과 정부가 매칭 지원금을 적립

주의사항

  • 정규직 채용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신청해야 하며, 기한을 넘기면 신청이 불가능합니다.
  • 중도 퇴사 시 본인 납입금은 반환되지만, 기업과 정부의 지원금은 지급되지 않습니다.
  • 기업이 부담금을 납입하지 않으면 청년내일채움공제에 참여할 수 없습니다.
  • 고용보험에 가입된 중소·중견기업만 참여 가능하며, 일부 업종(도박·유흥업 등)은 제외됩니다.
  • 이전에 청년내일채움공제 혜택을 받은 청년은 재참여가 불가능합니다.

오늘의 키워드

청년내일채움공제 청년공제 중소기업 지원 청년 지원금 2025 청년 정책